blog(15)
-
2015 문화예술트렌드 중장기 경향 분석 및 전망 2015.01.30
-
2014 문화예술트렌드 분석 및 전망
2014년도 문화예술계 및 사회전반에 걸친 키워드로는 ‘간편하게’와 ‘소소함’융∙복합과 다양성, 모듈화∙분절화되는 사회의 흐름이 반영된 문화소비의 양상 발견 • 2014 문화예술 10대 트렌드① 스낵 컬처(Snack Culture)의 유행: ‘스낵처럼 짧은 시간에 간편하게 즐기는 문화’라는 의미의 스낵컬처는 소비와 여가의 모습을 바꿀 뿐만 아니라 문화예술 ‘창작자’로서의 통로 제공② 개인에게 집중하는 TV, 전략적 타기팅: TV매체와 콘텐츠에도 개인맞춤형을 선호하는 분위기③ 공유하고 협업하는 생활문화예술: 지역의 시설을 거점으로 동호회 및 문화예술모임이 생활밀착형으로 진화④ 문화예술계 성장엔진은 사람이다: 문화예술계의 인재 키우기 열풍, 전문 인력양성제도의 본격화,젊은 문화예술인들의 1인 창업에 대한 관..
2013.12.31 -
2012공연예술실태조사
2012 공연예술실태조사 공연예술실탤조사 표지는 그 해의 문화적 감성을 나타내는 것인가? ㅎㅎ 우리 단체에도 공연예술실태조사 관련 전화를 받는데 좀 더 친절하게 알려줘야 하겠다 공연예술 시설에 따른 실태조사 - 조금씩 비슷한 양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 공연예술 종사자에 따른 실태조사 - 역시 조금씩 증가~ 공연예술 매출액에 따른 실태조사 - 이번에는 감소했네.. 물가상승률에 비하면 경제침체로 인한 문화예술계의 타격이 아주 심각한 상황임을 알수 있다.
2012.05.26 -
2012 문화예술정책백서
2012 문화예술정책백서 우리가 살고 있는 지금의 현재는 세계화, 지식정보화, 국제관계의 다원화, 인간중심의 편적 가치 확산 등 문명사적 전환시기로써 우리 사회는 국민경제 불균형의 심화, 디지털 기술 등 고도 기술사회와 인본성과의 괴리, 저출산 고령화 사회로의 급격한 진입, 가치체계와 비문화 변화로 인한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과의 불화, 다인종·다문화 사회에서 소통과 통합의 문제 등에 직면 하고 있다. 대외적으로 한반도 주변의 국제질서는 2008년 시작된 전 세계적인 경기침체 이후 5년 만에 일극(Uni-polar) 및 G20(Multi-polar)체제에서 미국과 중국에 의한 새로운 양극(bi-polar)체제로 바뀌는 급변기에 있었다. 이명박 정부는 이러한 역사적 전환기의 복합적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대한민..
2012.05.26 -
국내 공연산업의 문제점 고찰 및 향후 시장 전망
국내 공연산업의 문제점 고찰 및 향후 시장 전망 자는 침체의 일로를 걷고 있는 국가경제의 어두운 그림자 속에서 소비성 산업으로 인식되고 있는 공연산업의 풍전등화 같은 현실을 직시하고, 앞으로 이 난관을 헤쳐 나가기 위해 공연예술인들이 어떤 지혜를 모아야 하는가에 대해서 진지하게 토론해 보는 시간을 갖고자 앞으로 몇 차례에 걸쳐서 본 칼럼을 연재할 예정이다. 본 칼럼은 필자가 그동안 관객으로써, 오랜기간 마케팅 일선에서, 또 공연 제작에 참여했던 경험을 토대로 작성될 것이며, 개인적인 신념과 주관적인 의견에 상당 부분 의지함을 모두에 공지하는 바이다. 우선 첫 장에는 국내 공연산업의 현주소를 짚어 보고 공연예술산업이 한층 더 성숙해 지기 위해 풀어야 할 시급한 과제에 대해서 피력하고자 한다. 2008년 말..
2012.05.26 -
SnS그룹연합 5월 오픈세미나 발표자료
사물놀이 View more PowerPoint from JaeHwa Lee SnS그룹연합 5월 오픈세미나 발표자료
2012.05.26